진드기 주의보! 봄철 야외활동 감염병 예방, 어떻게?
봄철 야외활동 증가와 함께 진드기 매개 감염병 위험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예방 수칙을 숙지하여 건강한 봄을 보내세요!

핵심 요약
-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봄부터 가을까지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 SFTS와 쓰쓰가무시증은 주요 진드기 매개 질병입니다.
- 예방을 위해 야외활동 시 긴 옷 착용, 기피제 사용이 중요합니다.
봄철, 왜 진드기 감염병에 주의해야 할까요?
따뜻한 날씨와 함께 야외활동이 늘면서 진드기 활동도 활발해집니다.
특히 봄부터 가을까지는 진드기에 물려 감염될 수 있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과 쓰쓰가무시증 위험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각지에서 매년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일부는 사망에 이르기도 합니다.
SFTS는 고열, 소화기 증상, 근육통 등을 유발하며, 현재까지 치료제나 예방 백신이 없어 치명률이 높습니다.
쓰쓰가무시증은 진드기 물린 부위에 검은 딱지가 생기며 발열, 오한, 근육통, 발진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따라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 SFTS: 치료제와 예방 백신이 없는 고위험 감염병
- 쓰쓰가무시증: 매년 꾸준히 발생하는 진드기 매개 질병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기후 변화로 인해 진드기 서식 범위가 넓어지고 활동 기간이 길어지면서 감염 위험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진드기 감염병 예방을 위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고, 의료기관은 의심 환자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치료를 제공해야 합니다.
제주도 SFTS 발생 현황 (2015-2024)
제주도에서 발생한 SFTS 환자 수와 사망자 수를 연도별로 나타낸 표입니다.
연도 | 환자 수 | 사망자 수 |
---|---|---|
2015 | 9 | 1 |
2016 | 8 | 0 |
2017 | 21 | 3 |
2018 | 15 | 3 |
2019 | 9 | 1 |
2020 | 13 | 0 |
2021 | 8 | 2 |
2022 | 11 | 2 |
2023 | 8 | 1 |
2024 | 9 | 0 |
2017년 환자 수가 급증했으며, 매년 꾸준히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FTS 감염 예방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쓰쓰가무시증 또한 제주도에서 매년 평균 60명 내외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올해 들어서도 3명의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예방 수칙을 잘 지키면 충분히 예방 가능한 질병이므로, 야외활동 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등산을 즐기는 편인데, 진드기 감염병 예방을 위해 긴소매 옷을 착용하고, 진드기 기피제를 꼼꼼히 사용하는 등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있습니다.
또한, 야외활동 후에는 반드시 샤워를 하고, 몸에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잊지 않습니다.
- 야외활동 시 긴 옷 착용: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진드기 접근을 차단
- 진드기 기피제 사용: 진드기가 싫어하는 성분으로 접근을 막음
- 야외활동 후 샤워 및 몸 확인: 진드기 즉시 제거

진드기 감염병, 어떻게 예방해야 할까요?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의 핵심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중요한 예방 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제주도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해 지역 주민 대상 교육 및 홍보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농업기술센터 영농교육 과정에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 교육을 포함하고, 진드기 기피제와 홍보 리플릿을 제작하여 배포하고 있습니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 수칙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지켜야 할 예방 수칙을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내용 |
---|---|
옷차림 | 밝은색의 긴소매 옷과 긴 바지 착용 |
기피제 사용 | 진드기 기피제를 피부와 옷에 사용 |
활동 장소 | 수풀이나 덤불 등 진드기 서식 장소 피하기 |
활동 후 | 샤워하고 옷 세탁, 몸에 진드기 붙어있는지 확인 |
증상 발생 시 | 2주 이내 고열, 소화기 증상 발생 시 의료기관 방문 |
이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옷차림, 기피제 사용, 활동 장소 선택, 활동 후 관리가 중요합니다.
특히, 야외활동 후 2주 이내에 38도 이상 고열, 소화기 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야외활동 사실을 알리고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예방수칙을 지키면 충분히 예방이 가능한 질병입니다. 예방수칙을 잘 지켜달라."
-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의 말처럼,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예방이 중요한 질병입니다.
개인 스스로 예방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수 전화 한 통이 협박으로? 40대 실형, 스토킹 처벌 수위 논란 (1) | 2025.04.12 |
---|---|
아일랜드, 머스크 챗봇 '그록' 불법 학습 조사 착수: EU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쟁점 (1) | 2025.04.12 |
2025년 4월 12일 주말 날씨 : 전국 예보 상세 분석 및 여행 팁 (6) | 2025.04.12 |
기관 투자자 주간 순매수도 분석: LG에너지솔루션 집중 매수, NAVER 매도 배경은? (1) | 2025.04.11 |
제노스코, 코스닥 상장 좌절? 오스코텍 주주 반발과 그 배경 (1)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