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관세 전쟁 지속 시, 한미 협상 효과 상쇄? 한국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 분석
씨티그룹 보고서에 따르면, 한미 통상 협상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도 미중 관세 전쟁이 지속될 경우 한국 성장률이 최대 0.5%p 하락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핵심 요약
- 미중 관세 전쟁이 한국 성장률을 0.5%p 하락시킬 수 있다는 씨티그룹의 분석
- 한미 통상 협상 성공에도 미중 갈등 지속 시, 관세 영향 완화 어려움
-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경로 가속화 가능성
미중 관세 전쟁의 경제적 파급 효과
씨티그룹은 보고서를 통해 미국과 중국 간의 고율 관세 부과가 지속될 경우, 한국 경제 성장률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는 한미 간의 긍정적인 통상 협상 결과가 있더라도, 글로벌 무역 환경의 불확실성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전히 상쇄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보고서는 세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습니다: ▲ 한국에 10% 상호 관세, 미중 간 100% 초과 상호 관세 유지, ▲ 한국에 25% 상호 관세, 미중 간 100% 초과 상호 관세 유지, ▲ 한국에 10% 상호 관세, 미국이 중국에 60% 상호 관세 부과.
분석 결과, 첫 번째와 두 번째 시나리오에서 한국의 성장률은 0.5%p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관세 영향: 미중 관세 전쟁은 한국의 대미 수출, 특히 자동차 및 부품 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 성장률 하락: 씨티그룹은 미중 관세 전쟁이 지속될 경우, 한국의 경제 성장률이 추가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 금리 인하 압박: 관세 충격이 성장률을 낮추면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압력이 커질 수 있습니다.
성장률 전망 변화
주요 기관들의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는 추세입니다.
기관 | 올해 성장률 전망 |
---|---|
IMF | 1.0% |
블룸버그 컨센서스 | 1.41% |
씨티그룹 | 0.8% |
IMF를 비롯한 국내외 기관들이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하고 있으며, 0%대 성장률을 예상하는 기관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대응 가능성
씨티그룹은 미중 관세 갈등이 심화될 경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적으로 인하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습니다.
관세 충격이 성장률을 억누르면서, 한은이 보다 적극적인 통화 정책을 통해 경기 부양에 나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역시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를 고려할 때, 기존 성장률 전망이 낙관적이었다는 점을 인정하며 성장률 전망치 하향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불확실성 속 전망의 어려움
김진욱 씨티 이코노미스트는 관세 충격의 영향을 올해 성장률 전망에 일부 반영했지만, 내년 성장률 전망치에는 거의 반영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미중 무역 갈등의 불확실성이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
향후 미중 관계의 변화와 그에 따른 글로벌 경제의 변동성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할 때,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구분 | 시나리오 1 | 시나리오 2 | 시나리오 3 |
---|---|---|---|
한국 상호관세 | 10% | 25% | 10% |
미국-중국 상호관세 | 100% 초과 | 100% 초과 | 60% |
성장률 영향 (올해) | -0.5%p | -0.5%p | -0.2%p |
전문가 의견 및 시사점
씨티그룹 보고서는 한미 통상 협상의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미중 관세 전쟁이라는 외부 변수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중대한 영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 경제가 글로벌 무역 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며, 대외 의존도가 높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줍니다.
- 다각화 필요: 특정 국가에 대한 무역 의존도를 줄이고, 수출 시장 다변화를 추진해야 합니다.
- 기술 경쟁력 강화: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과 기술 혁신을 통해 무역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높여야 합니다.
- 선제적 리스크 관리: 글로벌 경제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잠재적 리스크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합니다.

결론
결론적으로, 한미 통상 협상의 성공은 한국 경제에 긍정적인 신호이지만, 미중 관세 전쟁이라는 거시적인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한국 경제는 이러한 복합적인 도전에 직면하여, 더욱 능동적이고 유연하게 대응해야 할 것입니다.
"한미 간 통상 협상이 성공적으로 끝나더라도 미·중 간 갈등이 계속된다면 관세가 성장률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완화하기 어려울 것이다."
- 김진욱 씨티 이코노미스트

See Also: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증권 '우상향 인생' 100만뷰 돌파: MZ세대 사로잡은 비결 (0) | 2025.04.23 |
---|---|
테슬라 1분기 실적 급감, 자동차 매출 20% 감소 원인은? (1) | 2025.04.23 |
트럼프發 관세 폭탄, 코스피는 지하까지? 시장 영향 긴급 진단 (1) | 2025.04.03 |
글로벌 경제 전망, 지금 투자해야 할 자산은 (0) | 2025.03.27 |
환율 변동이 내 해외 투자에 미치는 영향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