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도쿄·오사카, 제주 4·3 희생자 추도 행사 개최
일본 도쿄와 오사카에서 제주 4·3 희생자를 기리는 추도 행사가 열립니다. 재일동포를 중심으로 한 모임이 주최하며, 강연과 콘서트, 위령제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핵심 요약
- 도쿄에서 '제주 4·3 77주년 추도 강연과 콘서트' 개최 (4월 18일~19일).
- 김종민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 강연, 가토 도키코 콘서트 진행.
- 오사카에서는 재일본제주4·3희생자유족회 주관 위령제 개최.
일본에서의 제주 4·3 추도 행사
일본 도쿄와 오사카에서 제주 4·3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뜻깊은 행사가 개최됩니다. 이 행사는 재일동포 사회의 중심적인 노력으로 이루어지며, 4·3 사건의 아픔을 기억하고 희생자들을 기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특히, 일본 사회 내에서 제주 4·3 사건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도쿄에서는 '제주 4·3 77주년 추도 강연과 콘서트'가 닛포리 서니홀에서 4월 18일과 19일에 걸쳐 열립니다. 이 행사는 제주도4·3사건을 생각하는 모임·도쿄가 주최하며, 1부에서는 김종민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이 '전후 80년, 제주 4·3과 미국 그리고 일본'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합니다. 강연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책임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 강연 주제: '전후 80년, 제주 4·3과 미국 그리고 일본'
- 강연자: 김종민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
- 장소: 도쿄 닛포리 서니홀
2부에서는 일본의 유명 가수 가토 도키코가 출연하여 특별한 무대를 선보입니다. 그녀는 홍난파의 '봉선화'를 비롯해 '홀로 자는 자장가', '끝없는 대지 위에', '죽은 이가 남긴 것은', '백만송이 장미' 등을 부르며, 제주 4·3 사건의 아픔을 위로하고 평화를 기원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입니다.
가토 도키코 콘서트 주요 곡
가토 도키코는 다양한 레퍼토리를 통해 제주 4·3 사건의 의미를 되새기고,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입니다.
곡명 | 의미 |
---|---|
봉선화 |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애틋함 |
홀로 자는 자장가 | 슬픔과 고통을 위로하는 노래 |
끝없는 대지 위에 | 전쟁의 비극을 비판하고 평화를 염원 |
죽은 이가 남긴 것은 |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는 노래 |
백만송이 장미 | 사랑과 평화의 상징 |
가토 도키코의 선곡은 제주 4·3 사건의 아픔을 다독이고, 평화를 향한 염원을 담고 있습니다. 그녀의 음악은 참석자들에게 깊은 감동과 위로를 선사할 것입니다.
오사카에서는 재일본제주4·3희생자유족회가 주관하는 '제77주년 재일본 제주 4·3 희생자 오사카 위령제'가 통국사에서 진행됩니다. 통국사는 2018년 4·3 희생자 위령비가 건립된 뜻깊은 장소입니다. 제주 4·3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그들의 넋을 기리는 엄숙한 의식이 거행될 예정입니다.
- 행사명: 제77주년 재일본 제주 4·3 희생자 오사카 위령제
- 장소: 오사카 통국사
- 주최: 재일본제주4·3희생자유족회

제주 4·3 사건의 의미와 교훈
제주 4·3 사건은 대한민국의 현대사에서 잊을 수 없는 비극적인 사건입니다. 이 사건은 무고한 양민들이 희생된 아픔을 간직하고 있으며, 과거의 진실을 밝히고 화해와 상생을 이루는 과제를 우리에게 안겨주고 있습니다. 제주 4·3 사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기억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발전과 인권 신장에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이번 일본에서의 제주 4·3 희생자 추도 행사는 단순히 과거를 기리는 것을 넘어, 미래를 향한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의미 있는 자리입니다. 재일동포 사회의 끊임없는 노력과 관심은 제주 4·3 사건의 진실을 알리고, 희생자들의 명예를 회복하는 데 큰 힘이 될 것입니다. 제주 4·3 사건은 과거의 아픔을 극복하고, 평화로운 미래를 만들어가는 데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제주 4·3 사건 연표
제주 4·3 사건의 주요 사건들을 정리한 연표입니다.
날짜 | 사건 |
---|---|
1948년 4월 3일 | 제주 4·3 사건 발발 |
1949년 5월 | 토벌 작전 본격화 |
1954년 9월 21일 | 한라산 금족령 해제 |
2000년 1월 12일 |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제정 |
2021년 4월 3일 | 문재인 대통령, 4·3 추념식 참석 및 사과 |
제주 4·3 사건은 오랜 시간이 흐른 후에도 여전히 우리 사회에 깊은 상처로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진실 규명과 희생자 명예 회복을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과거의 아픔을 치유하고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 단재 신채호
단재 신채호 선생의 말씀처럼, 우리는 역사를 잊지 않고 기억하며,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제주 4·3 사건은 우리에게 이러한 역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해주는 사건입니다.
이번 일본 도쿄·오사카에서의 제주 4·3 희생자 추도 행사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과거의 아픔을 딛고 평화로운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의미 있는 발걸음이 될 것입니다. 제주 4·3 사건의 진실을 기억하고,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는 마음으로 함께 연대해야 합니다.
제주 4·3 사건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서는 앞으로도 끊임없는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재일동포 사회의 헌신적인 노력과 함께, 우리 사회 전체가 제주 4·3 사건의 의미를 되새기고,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실현해나가야 할 것입니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모건의 관세 쇼크 경고: 미국 경제 역성장 전망 (0) | 2025.04.06 |
---|---|
여의나루역 러너스테이션, 봄맞이 새단장! 러닝족 위한 특별 프로그램 공개 (1) | 2025.04.06 |
500개 골프장 정보 복제 앱 제작, 대표 징역형 선고: 저작권 침해 논란 (1) | 2025.04.06 |
해외IB 분석: 윤석열 대통령 파면 후 대규모 추경 예상, 경제 불확실성 해소? (0) | 2025.04.06 |
월가 '패닉', 베선트 재무장관 상호관세 결정에서 밀려난 이유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