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절반 이상 암호화폐 투자 경험, 5명 중 1명은 거래소 피해 경험
한국 성인의 절반 이상이 암호화폐에 투자한 경험이 있으며, 투자자 5명 중 1명은 거래소 문제로 인한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투자 목적, 수익 경험, 피해 유형 등을 분석합니다.

핵심 요약
- 성인 54.7%가 암호화폐 보유 경험이 있으며, 주요 목적은 투자(69.9%)이다.
- 수익을 얻은 투자자는 51.6%이며, 투자 금액은 1천만원 미만이 대부분이다.
- 투자자 20.3%가 거래소 문제, 리딩방 피해, 투자 사기 등 피해를 경험했다.
암호화폐 투자 경험 및 목적
최근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이 발표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경기 및 6개 광역시에 거주하는 19∼69세 성인 남녀 2,500명 중 54.7%가 과거 또는 현재 가상자산을 보유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상자산 보유 목적은 '투자'가 69.9%로 가장 높았으며, '가상 자산에 대한 호기심'(42.1%), '특정 서비스 이용을 위한 수단'(14.0%), '화폐를 대신하는 거래 수단'(13.7%)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는 암호화폐가 단순한 투자 수단을 넘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투자 목적: 응답자의 약 70%가 투자를 위해 암호화폐를 보유.
- 호기심: 42.1%는 암호화폐에 대한 단순한 호기심으로 투자를 시작.
- 다양한 활용: 특정 서비스 이용이나 거래 수단으로도 활용.
암호화폐 투자 규모 및 기간
가상자산 투자자들의 투자 규모와 기간은 어떠할까요?
구분 | 비율 |
---|---|
1천만원 미만 투자 | 58.7% |
1년 미만 투자 | 60.8% |
투자 금액은 1천만원 미만이 58.7%로 가장 많았고, 예상 투자 기간은 1년 미만이 60.8%로 나타나, 단기 소액 투자가 주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상자산 투자 수익과 피해 경험
가상자산 투자로 수익을 얻었다는 응답은 51.6%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20.3%는 가상 자산과 관련한 피해를 겪었다고 답했습니다. 피해 유형으로는 거래소 관련 문제(72.8%), 리딩방 피해(44.7%), 투자 사기(35.5%) 등이 있었습니다.
피해 금액은 1천만원 미만이 75.1%로 가장 많았으며, 피해를 겪은 후 아무런 조처를 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67.7%에 달했습니다. 이는 소액 피해가 잦고, 피해 발생 시 적극적인 대응이 미흡함을 시사합니다.
주요 투자 암호화폐 종류
현재 암호화폐에 투자하는 사람들은 평균 3종 이상의 암호화폐에 투자하고 있으며, 특히 비트코인(76.0%)과 이더리움(52.8%)에 대한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습니다.
그 외 투자가 많던 암호화폐로는 리플(32.2%), 도지코인(24.6%), 솔라나(14.7%) 등이 있었습니다.
암호화폐 | 투자 비율 |
---|---|
비트코인 | 76.0% |
이더리움 | 52.8% |
리플 | 32.2% |
도지코인 | 24.6% |
솔라나 | 14.7% |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인지도 및 요구 사항
작년 7월 시행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현재 암호화폐 투자자 중 절반(50%)이 이 법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이 법을 알고 있다는 응답자들은 사기 행위에 대한 처벌과 거래소 보안 강화를 주요 보완 요소로 꼽았습니다.
- 사기 처벌 강화: 투자자들은 가상자산 관련 사기 행위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요구.
- 거래소 보안 강화: 거래소 해킹 및 전산 장애에 대한 안전 대책 마련을 촉구.
- 허위 정보 경계: SNS를 통해 확산하는 암호화폐 허위 정보에 대한 경고 필요.
투자 시 유의사항
금융소비자보호재단은 SNS를 통해 확산하는 암호화폐 허위 정보에 현혹돼 급히 투자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암호화폐 투자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동시에 큰 손실을 볼 수도 있는 고위험 자산입니다. 투자 전 충분한 정보를 습득하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SNS를 통해 확산하는 암호화폐 허위 정보에 현혹돼 급히 투자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 금융소비자보호재단
See Also: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웨이, 엔비디아 AI칩 대체 준비…미국 제재 속 중국 반도체 자립 시도? (0) | 2025.04.22 |
---|---|
청년주택드림대출, 서울 신축 1.8%만 가능? 현실적인 요건 개선 필요 (0) | 2025.04.22 |
HD현대일렉트릭, 1분기 매출 1조 돌파! 영업이익 69% 급증 비결은? (0) | 2025.04.22 |
태백시 소아 야간진료 시작! 공공심야어린이병원 개소 의미 (0) | 2025.04.22 |
트럼프발 해고 칼바람? 연방정부 100만 명 감축 전망 분석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