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년층 유튜브 과의존, '필터 버블'과 '인포데믹' 위험 심각
고령화 사회에서 노년층의 유튜브 이용률이 증가하면서 '필터 버블'과 '인포데믹' 같은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플랫폼의 책임 강화를 강조합니다.

핵심 요약
- 노년층의 유튜브 이용률 급증과 함께 디지털 미디어 중독 위험 증가.
- 개인 맞춤형 알고리즘으로 인한 '필터 버블' 현상 심화.
- 잘못된 정보 맹신으로 이어지는 '인포데믹' 우려.
노년층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증가 추세
초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노년층에게 소셜미디어, 특히 유튜브는 단순한 여가 활동을 넘어 중요한 정보 습득의 창구가 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영상과 댓글, 알림을 통해 무료한 시간을 달래주는 매력적인 친구가 된 것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60세 이상 인구의 인터넷 이용률은 2024년 83.1%로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70대 이상에서는 유튜브 등 동영상 서비스 이용률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유튜브를 통한 뉴스 소비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이처럼 노년층의 디지털 미디어 의존도는 점차 심화되는 추세입니다.
- 인터넷 이용률 증가: 60세 이상 인터넷 이용률 83.1% 기록 (2024년).
- 유튜브 집중: 70대 이상, 뉴스 소비 시 유튜브 등 동영상 서비스 선호.
'필터 버블' 현상의 심각성
이해국 교수는 노인들이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1인 미디어를 통해 뉴스를 접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지적합니다. 이는 자신과 생각이 같은 정보만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편향된 이용 패턴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1인 미디어 의존은 결국 자신의 생각이 옳다고 믿는 '필터 버블' 현상을 심화시킵니다. 특히 정치적 사안과 같이 극단적인 대립이 존재하는 분야에서 이러한 현상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필터 버블은 자신의 신념이 무너질 경우 폭력적인 행동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입니다.
'인포데믹' 위험과 사회적 관계 단절
노년층은 사실 여부를 확인하려는 성향이 낮아 건강 문제와 관련된 잘못된 정보에 쉽게 현혹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포데믹' 현상은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백신 접종 거부와 같은 사회적 문제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디지털 미디어 중독은 사회적 관계 단절, 우울감, 불안감 증폭과 같은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치할 경우 상황은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구분 | 문제점 | 영향 |
---|---|---|
필터 버블 | 편향된 정보 습득 | 극단적 사고, 폭력적 행동 |
인포데믹 | 잘못된 정보 맹신 | 건강 악화, 사회적 문제 야기 |
해결책: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및 플랫폼 책임 강화
이해국 교수는 노년층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확대, 유튜브 등 플랫폼의 책임 강화, 국가 차원의 미디어 정책 수립이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디지털 미디어가 노년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측면도 분명히 존재하지만, 이제는 멈출 수 없는 손가락 너머로 깊어지는 어르신들의 고독과 중독에 우리 사회가 좀 더 귀 기울여야 할 때입니다.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확대: 노년층 대상 미디어 교육 강화
- 플랫폼 책임 강화: 유튜브 등 플랫폼의 사회적 책임 증대
- 미디어 정책 수립: 국가 차원의 고령층 미디어 정책 마련
따뜻한 관심과 소통의 중요성
스마트폰 화면 너머의 세상도 중요하지만, 우리 주변의 따뜻한 관심과 소통이야말로 어르신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노년을 위한 가장 든든한 버팀목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노년층의 유튜브 과의존 문제는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가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디지털 세상에서의 건강한 삶을 위해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노년층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확대, 유튜브 등 플랫폼의 책임 강화, 국가 차원의 미디어 정책 수립 등이 시급하다"
- 이해국 교수
See Also: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함지산 산불 재발화: 민가 확산 막기 위한 야간 총력 대응 (0) | 2025.04.30 |
---|---|
SKT 사용자 5천만원 탈취, 해킹 연관성 낮다? 경찰 조사 심층 분석 (0) | 2025.04.30 |
이재명 선거법 위반, 대법원 판단 하루 앞으로! 상고기각 vs 파기환송 (0) | 2025.04.30 |
뇌경색 환자, 당뇨병 오래 앓을수록 치매 위험 증가: 연구 결과 분석 (0) | 2025.04.29 |
대구 함지산 산불: 수리온 투입, 민가 확산 막는다 (0) | 2025.04.29 |